본문 바로가기

귀농귀촌 자료실

임야(산지)에 농막(산지관리사)용 컨테이너 설치 시 장마철 및 국지성 호우를 대비한 배수로와 우수관 맨홀 공사 필요

반응형

임야(산지)에 농막(산지관리사)용 컨테이너 설치 시 장마철 및 국지성 호우를 대비한 배수로와 우수관 맨홀 공사 필요하다.


농사를 짓는 농촌은 지구 온난화(地球溫暖化: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바다와 지표 부근 공기의 기온 상승을 의미한다)와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극심한 가뭄과 국지성 호우가 발생하여 피해를 받게 된다.


많은 사람들의 로망인 전원생활, 귀농, 귀촌, 주말농장에서도 다양한 피해를 보게 된다. 가뭄으로 인하여 농작물의 고사와 장마철과 호우로 인하여 농작물의 피해(침수, 쓰러짐, 녹아내림 등)와 더불어 토사 유출로 인하여 도로의 유실, 전답의 침수, 둑 붕괴 등이 발생을 하게 된다.


그중 농지나 임야(산지)에 농막(산지.임업관리사)용 컨테이너 설치 시 장마철  및 국지성 호우(局地性 豪雨)(특정 지역에 집중적으로 많은 양의 비가 내리는 것을 말한다. 이때 국지(局地)는 일정하게 한정된 지역이란 뜻을 가지고 있다. 좁은 지역에 돌발적으로 발생해 많은 비를 뿌리는 것으로, 게릴라성 호우라고도 부른다. 5km 이내의 좁은 지역에 시간당 최고 80mm 이상의 비가 내리는 것은 국지성 집중호우라 부른다)를 대비한 배수로와 우수관 맨홀 공사 필요하다.


농지(밭, 논, 과수원)에는 대다수 두둑과 두둑 사이 고랑으로 배출되는 우수를 흘려보내는 배수로가 확보가 되어 있기 때문에 농막용 이동식 주택이나 농막용 컨테이너 설치 시에 배수로 확보가 어렵지 않다. 그러나 장마철 및 국지성 호우를 대비하여 농막용 이동식 주택이나 농막용 컨테이너에서 흘러내리는 우수를 모아 배출할 수 있는 우수 맨홀과 기존 배수로를 연결하는 우수관 공사를 통하여 토사의 유출과 주변의 호우 피해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특히, 임야(산지)에 농막(산지.임업관리사)용 이동식 주택이나 컨테이너 설치 시에는 농지의 경우와는 달이 경사도가 있는 곳의 평지나 임야를 복토(覆土) 하거나 절개하여 평지를 만들어 이용을 하여야 한다. 이때 맨홀과 배수로 설치 공사를 하지 않을 경우 농막(산지.임업관리사) 주변의 토사 유출로 인하여 붕괴가 일어나게 되어 지반이 무너져 농막이 기울거나(비스듬히 낮아지거나 비뚤어지다) 무너저 내려 산 아래로 유실되는 경우 큰 피해가 발생할 수가 있다.


전원생활 산기슭뜨락 신두리농장의 경우 2012년 농지 구입 당시 장마철 및 국지성 호우를 대비한 밭 주변에 깊이 0.8m, 폭 1.2m ㄷ-자 배수로를 만들어 농로 밑에 500mm 이중 주름관을 묻어 하천으로 우수를 방류할 수 있도록 작업을 하여 시설물에 피해를 받지 않는다.

전원생활 산기슭뜨락 황촌리농원의 경우 2015년 경사도 20도 정도 임야(산지)를 매입하여 산전용신고(형질변경)와 건축신고를 통하여 2016년 전원주택지(농가주택)를 조성을 위해 임야(산지)를 절개하여 토목공사를 하면서 절개지에서 나온 토사 일부는 임야에 복토를 하여 평지화(산지.임업관리사 농막설치 장소)를 하고 전원주택지(농가주택)에 장마철 및 호우를 대비하여 상하단 조경석 옹벽 작업과 배수로를 만들고 깊이 500mm 우수(빗물)용 맨홀 1개를 묻고 300mm의 이중(2중) 주름 배수관을 80M 거리에 설치된 하천과 연결된 맨홀까지 연결하여 배수로 공사를 완료하였다.

그러나 임야(산지)에 농원을 조성하여 전원주택 건축 전에 임야관리를 위하여 2017년 6월 30일 농막(산지.임업관리사)용 이동식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농막 주위에 테라스(발코니 보다 큰 규모의 공간으로 지붕이 없고 건물 외곽으로 확장한 형태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는 곳) 설치 공사를 위하여 매설한 배수관으로 연결되는 전원주택지와 농막의 배수로 정비되지 않은 상태에 주간 일기예보에 비 소식이 없어 서울 회사에 업무차 다녀온 잠시 방심한 틈에 시간당 최고 80mm 이상의 비가 내리는 국지성 집중호우가 내려 복토(覆土)한 토사의 유출로 인하여 농막(산지.임업관리사)을 설치한 전면부에 붕괴가 일어나 큰일을 치를뻔하였다.


복토(覆土)한 토사의 유출로 인하여 붕괴가 일어난 농막(산지.임업관리사)용 컨테이너 전면부 좌측과 우측 부분에 다시 복토를 위하여 포크레인을 불러 농막(산지.임업관리사) 보다 지대가 높은 전원주택지(농가주택)의 표면을 낮추면서 발생한 흙으로 붕괴된 좌측면을 복구하고 포크레인으로 불가능한 봉괴된 우축면은 흙을 날라서 복구하고 배수로 작업을 다시 시작하였다.


전원주택지(농가주택)와 뒤편 임야(산지)는 20도에 1,000㎡(약300평) 정도 면적으로 장마철 및 국지성 호우시 상당한 우수(빗물)가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여 전원주택지(농가주택) 500mm 우수(빗물)용 맨홀과 수전으로 연결된 150mm의 이중(2중) 주름 배수관 사이에 350mm 우수용 맨홀을 1개 추가하여 설치하여 배수로 작업을 추가하였다.


농막(산지.임업관리사)용 이동식 컨테이너 뒤편 임야(산지)는 20도에 500㎡(약 150평) 정도 면적으로 장마철 및 국지성 호우시 상당한 우수(빗물)가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여 컨테이너(면적 18㎡-약 5.5평) 전면부 테라스 하부에 농막 전용 250mm의 우수(빗물)용 맨홀을 묻고 70mm PVC 배수관을 20M 거리에 설치된 하천과 연결된 맨홀까지 연결하여 별개의 배수로 공사를 완료하고 경사진 복토한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로 가림막 처리를 하였다.

농막(산지.임업관리사) 출입구 앞에도 호우시 임야(산지) 발생하는 우수(빗물)처리를 위하여 250mm의 우수(빗물)용 맨홀을 묻고 70mm PVC 배수관을 하천과 연결된 맨홀까지 연결된 300mm의 이중(2중) 주름 배수관에 연결하여 배수로 공사를 완료하고 경사진 복토한 흙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직포로 가림막 처리를 하였다.


배수관에 연결하는 배수로 공사와 동시에 농막(산지.임업관리사)에 인입되는 전기 공급용 전선을 방수용 후렉시블 전선관에 삽입하여 전기 공급 선로도 함께 매설을 하였다.

반응형